Home > 자료실 > 성명서/보도자료

성명서/보도자료

성명서/보도자료 [성명서]한국도로공사 통행료 감면제도 축소안 반대성명
2013-10-11 19:12:00
관리자 조회수 3511
222.110.115.232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장총련 로고

사단법인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자료배포일

2013 1011

매수

3

TEL

02-784-3501

FAX

02-784-3504

Homepage

http://www.kofod.or.kr

E-mail

kofod@kofod.or.kr

한국교통장애인협회,한국근육장애인협회,한국산재장애인협회,한국장애인인권포럼,

한국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한국지체장애인협회,한국청각장애인협회

 

성 명 서


우리는 지켜보고 있다!

- 500만 장애인을 우롱한 한국도로공사의 꼼수

 

2012년 한국도로공사에서 의뢰하여 국토연구원에서 진행한 통행료 감면제도 성과분석 및 제도정비 방안 연구와 관련하여, 경차장애인 등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축소 안을 검토하다 비난여론으로 철회한 사건이 있었다.

 

한국도로공사에서 진행한 통행료 감면제도 성과분석 및 제도정비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제도의 점진적 확대에 따른 감면대상 증가 및 감면액 증대로 한국도로공사의 재무 부담이 가중되어 현재 감면제도의 성과 및 타당성을 분석하고 정비 안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현재 연도별 면제액은 4.6%, 할인액은 11.9%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여 면제보다 할인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며 문제제기 하고 있으나 실제로 들여다보면 2011년 기준 감면액은 하이패스 상시할인(659억원), 경차할인(595억원), 화물차 심야할인(516억원)순으로 나타나며 장애인 할인율은 연간 3,117만 대로 (424억원)총 감면차량 중 3.77%에 불과하다. 또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하이패스 상시할인은 이미 20126월에 폐지되지 않았는가.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경차할인은 경차의 보급률을 늘리기 위하여 시행되었지만 2000년 이후 약 8% 수준에서 증가하지 않고 있고 고속주행 시(100km/h이상) 경차의 연비는 소형차와 비슷하거나 낮으며 CO2 발생량이 커지므로 전면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

 

출퇴근 할인은 할인시간대 교통량 점유율은 시행전후가 동일하여 분산 효과가 낮고 도로통행료가 서민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 직접적 지원이 되기는 어려우며 일부 승용차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혜택이 일부에게 집중된다는 이유로 일부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

 

화물차 심야할인은 심야시간대로의 교통량 분산에 1.2%~1.8% 영향을 주었지만 성과는 미미하였고 운송원가 중 통행료 비중감소로 물류비 절감효과도 크지 않음으로 전면 조정의 필요하다는 의견.

 

장애인등 할인의 경우,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의 이동권 보장 측면과 경제적 지원측면에서 일정부분 성과는 있지만 자동차 보유율이 낮아 실효성이 떨어지므로 일부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더 세밀하게 들어가 보면,

장애인 가구의 승용차 보유대수가 전체 가구의 승용차 보유대수(0.74)보다 낮아 자동차의 통행료 할인으로 이동권 보장 정책이 실효성을 거두기는 다소 미흡 하다는 측면.

 

이는 장애인 가구의 자동차 보급률이 전체 가구 수의 보급률에 비해 낮다고 해서 실효성이 없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반대로 실제로 자가용을 소유하고 있는 장애인 가구 수가 낮다면 장애인 할인 혜택으로 큰 손실을 보고 있다는 주장 또한 억지 아닌가 싶다.

 

 

국가 및 사회에 대해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사항은 소득보장(38.2%), 의료보장(31.4%), 고용보장(8.6%)으로 나타나 이동권보장과 통행료 경감을 통한 경제적 부담완화 측면도 장애인에게 실제적으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라는 측면.

 

우선순위에서 뒤쳐진다고 해서 필요 없거나 도움이 되지 않는 제도는 아니라는 점.

 

 

장애인 등의 평균주행거리는 경차(26.7km), 출퇴근(19.4km)보다 높아 출퇴근이나 치료 등의 목적통행보다는 여가위주의 통행패턴을 반영한다는 측면.

 

장거리 이동자가 많다고 하여 여가위주의 통행을 한다고 결론내리는 것은 편향된 분석결과로 보여지며, 그 할인율을 줄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